지난해 총저축률 30%..26년來 최저
입력 : 2010-05-23 12:56:45 수정 : 2011-06-15 18:56:52
[뉴스토마토 장한나기자] 우리나라 총저축률이 26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3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저축률은 30.0%로 지난 1983년 28.9%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총저축률은 총저축을 국민 총처분 가능소득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총저축은 국민 총처분 가능소득에서 민간과 정부의 소비지출을 뺀 것이다.
 
총저축률이 낮아졌다는 것은 기업의 투자 여력이 줄어들고 가계 건전성이 그만큼 나빠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총저축률은 1인당 국민소득이 255달러였던 1970년에 17.4%였다가 1980년 24.3% 등 20%대를 유지한 뒤 1984년 30.9%로 30%대를 돌파했다.
 
이후 1988년 40.4%까지 올랐다가 1989년 37.6%, 1993년 36.9%로 30%중후반대를 기록했다.
 
그러나 1998년 외환위기를 겪은 뒤 2000년 33.0%, 2001년 31.1%, 2002년 30.5%로 내리 하락한 뒤 2003년 31.9%, 2004년 43.0%까지 치솟았다.
 
이어 2005년 32.1%, 2006년과 2007년 30.8%, 2008년 30.5%, 지난해 30.0%로 5년 연속 감소추세다.
 
정부는 최근 저금리 기조로 소득 상위계층의 경우 저축보다 다른 자산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는 데다 경제위기로 거의 모든 계층에서 저축 여력이 적어져 총저축률이 하락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뉴스토마토 장한나 기자 magaret@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장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