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 8월부터 6.8% 인상…물가 다시 '자극'
하반기 공공요금 줄줄이↑…경기회복 기대 '찬물'
입력 : 2024-07-05 17:53:32 수정 : 2024-07-05 17:53:32
[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안정세를 보이던 물가가 또 한 번 출렁일 전망입니다.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이 바로 다음 달부터 오릅니다. 도시가스를 원가 미만으로 공급하던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한 조치지만, 공공요금이 물가의 '핵심 변수'인 만큼 경제에 충격파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가스요금 인상' 현실화…4인 가구 '월 3770원↑'
 
한국가스공사는 5일 내달 1일부터 주택용 도시가스 도매요금(서울시 기준)을 메가줄(MJ)당 1.41원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인상 폭은 현재(20.8854원)의 6.75%인데요. 4인 가구 기준, 월 가스 요금이 약 3770원 오르게 됩니다. 음식점·목욕탕 등에서 쓰이는 영업용 도매요금도 1.30원 상승합니다. 
 
민수용(주택용·영업용) 도시가스 요금 인상은 지난해 5월 이후 1년여 만입니다. 정부는 물가 등 국민 경제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그간 가스요금 인상을 유보해 왔는데요. 그러나 가스공사의 재무 상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른 만큼, 공급 원가에 준하는 수준까지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설명입니다. 여름철이 1년 중 난방용 에너지 수요가 가장 적다는 점도 인상 시기 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실제 가스공사가 원가 이하 가격으로 가스를 공급하면서, 지난 1분기 기준, 민수용 도시가스의 '미수금' 규모는 13조5000억원에 달했습니다. 미수금 사실상 영업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인데요. 가스공사는 차입금을 늘려 가스를 도입해 왔고, 가스공사의 총부채는 46조9000억원(지난 3월 말 기준)을 찍었습니다. 결국 작년 한 해 이자로만 1조6800억원, 올해 1분기에는 4100억원의 이자 비용을 지출했습니다.
 
불안정한 고유가·고환율…섣부른 '물가 정점론'
 
문제는 '물가 상승'입니다. 물가 상승의 최대 요인은 국제유가·환율·공공요금입니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며 일각에선 '물가 정점론'이 제기되기도 했는데요. 불안한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등 물가를 끌어올릴 위험이 남아있는 상황에,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이 현실화한 겁니다. 
 
통계청이 지난 2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석유류 물가상승률은 4.3%로, 전월(3.1%)보다 오름세가 확대했습니다. 2022년 12월(6.3% 증가) 이후 18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인데요. 이달부터 휘발유·경유 등 유류세 인하율이 축소되면서 석유류 상승 폭은 더욱 확대될 수 있습니다.
 
전체 458개 품목 중 '물가 가중치'가 높은 석유류는 중동 분쟁 상황에 따라, 언제든 다시 오름세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에너지 위기도 변수입니다. 올 하반기에도 정세 불안이 가중될 수 있는 만큼 국제유가 상승은 잠재적 뇌관입니다. 
 
유가가 오르면 수입물가 상승, 원화 하락 현상이 발생하면서 인플레이션을 자극합니다. 대표적으로 제조사들의 가격 인상으로 경제 전반에 고물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꼽을 수 있습니다. 

전기료·지하철 요금도 오른다
 
당장의 위협은 공공요금입니다. 가스공사뿐 아니라 한국전력의 누적 적자도 심각한데요. 한전의 (올 1분기 기준)의 총 적자는 200조9000억원에 달합니다. 적자가 누적된 만큼, 가스에 이어 전기 요금까지 오를 수 있다는 겁니다. 앞서 지난달 한전은 올 3분기(7∼9월) 전기요금을 동결했는데요. 
 
이는 '5분기 연속 동결'인 데다 전기 사용량이 많은 여름철을 고려한 한시적 조치에 불과해, 전기료 인상은 예정된 수순입니다. 공공요금을 올릴 경우 외식 등 항목도 오르며 전체 물가가 흔들릴 여지가 있습니다.  
 
대중교통비도 오릅니다. 서울시는 올 하반기 지하철 기본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고 각 지자체도 요금 인상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유지웅

쪽팔리게 쓰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