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주택가 주차장 3000면 공급
공영 주차장 보조금 지원 기준 완화
주차 환경 열악한 곳은 시가 직접 건설
입력 : 2022-02-09 15:37:31 수정 : 2022-02-09 15:37:31
[뉴스토마토 윤민영 기자] 서울시가 다가구·다세대주택 등이 밀집한 주택가의 고질적인 주차난을 완화하기 위해 올해 총 3005면의 주차장을 추가 확보한다고 9일 밝혔다.
 
노후 주택가에 공영주차장이 확대될 수 있도록 주차장 조성 보조금 지원기준을 완화하고, 주차환경이 열악한 곳엔 시가 직접 주차장을 건설한다. 학교·공원 등 공공부지도 적극 활용한다.
 
먼저 시는 주차장 조성 보조금 지원기준을 완화할 예정이다. 주차장 확보율이 100% 이상인 행정동은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해 보다 많은 주택가가 지원 대상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지하철 역세권도 단일역의 경우 우 반경 100m 이내, 환승역의 경우 반경 300m 이내 지역도 주차장 조성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미 시비 지원을 받은 주차장도 올해부터는 주차공간을 증축·입체화할 경우 지원 대상이 된다.
 
주차환경이 매우 열악한 곳에는 시가 직접 주차장을 건설한다. 시는 지난 2020년 시범사업으로 금천 독산2동 마을공원(105면), 동대문 간데메공원(154면) 등 총 259면의 주차장을 건설 중이다. 시는 주차장 확보율이 낮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검토해 신규 주차장 건설을 단계별로 확대할 계획이다.
 
학교·공원 등 공공부지에도 주차장을 만든다. 올해 학교 부지 2개소와 공원 부지 3개소에 신규 주차장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주택가의 대표적인 생활 불편이자 민원요소인 주차공간 확보를 위해 그동안 공동주차장 건설, 담장 허물기·자투리땅을 활용한 그린파킹, 부설주차장 개방 등 주차공간 확충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그러나 서울시 주택가 주차장 확보율(자동차 대수 대비 주차 면수)은 2020년 63.6%(공동주택 제외)으로 주차난이 여전히 심각해 관련 민원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서울지역 총 426개 행정동 중 주차장 확보율이 50% 미만인 곳도 28.6%(122개 동)에 달한다.
 
백호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주차장 건설 확대로 열악한 주택가 내 주차환경이 개선되고 시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차정책을 통해 주차장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저층 주거지 등 주차난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올해 3000면의 주차장 조성비를 지원한다고 9일 밝혔다. 사진은 강동구 길동 저층 주거지. 사진/뉴시스
 
윤민영 기자 min0@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윤민영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