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과저축 100조 넘어…"집값 상승시킬 수도"
한은,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발표
부채 상환 않고 주식·예금으로 보유
"집값 상승 기대 속 주택시장 재접근 기회"
입력 : 2023-07-24 15:12:31 수정 : 2023-07-24 17:49:49
 
[뉴스토마토 윤영혜 기자]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기간 중 우리나라 가계에 축적된 초과저축이 100조원이 넘는 가운데 금융시장 불확실성으로 가계가 돈을 쓰고 있지 않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가계는 초과저축을 예금·주식 등 금융자산에 주로 넣어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초과저축이 주택 시장 등에 유입될 경우 주택 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라는 제목의 'BOK 이슈노트'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서 2022년까지 우리나라 가계 초과저축액은 100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명목 GDP의 4.7~6%(민간소비 대비 9.7~12.4%) 수준으로 추산됐는데요.
 
한은은 팬데믹 직후 소비가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소득이 증가하면서 초과저축이 증가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의 경우 초과저축 일부가 소비재원으로 이용되면서 초과저축 규모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가계가 초과저축을 추가적인 소비재원으로 활용한 부분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까지 이어진 고용호조와 정부 지원 등으로 소득 여건이 양호해졌기 때문입니다.
 
2020~2022년 중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팬데믹 이전보다 크게 증가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명목 가계 처분가능소득 평균 증가율은 2017~2019년 3.6%에서 2020~2022년 4.6%로 높아졌습니다.
 
금리상승으로 부채상환 유인이 증대됐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가계의 디레버리징은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딘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2020~2022년 중 우리 가계의 금융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크게 늘어났는데 이는 우리 가계가 초과저축을 부채상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조주연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초과저축이 대출상환에 쓰이지 않은 이유는 대외 수출 여건이 악화되고 실물 경제나 금융 불확실성이 높아 다른 주요국보다 우리 가계가 추이를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가계는 초과저축을 주로 예금, 주식 등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 중인데요. 우리나라 가계 금융자산은 2020~2022년 현금·예금, 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006조원이 늘어 2017~2019년 중 증가 규모(591조원)보다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습니다.
 
한은은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이 실물경제 측면에서는 소비 충격 시 완충역할을 하는 한편 금융시장 측면에서는 주택 등 자산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최근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이어진다면 금융안정에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자료=한국은행)
 
윤영혜 기자 yyh@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윤영혜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