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요소수 대란' 대책 촉구…책임론 공방도
민주 "윤석열정부, 공급망 다변화 정책 철폐…2년 간 뭘 했나"
입력 : 2023-12-04 20:15:06 수정 : 2023-12-04 20:15:06
중국이 2년 만에 또 다시 요소수 수출을 통제하면서 '제2의 요소수 대란'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9월 서울시내 한 주유소에 '요소수 품절'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중국이 한국으로의 산업용 요소 통관을 중단한 것과 관련해 정치권은 4일 '요소수 대란'에 대한 대책을 촉구하면서도 책임론을 놓고 충돌했습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중국 통관이 한국으로 들어오는 요소 수출을 막으면서 2년 전 겪었던 요소수 대란이 반복되는 게 아닌지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문재인정부 당시 벌어진 요소수 대란을 꼬집은 겁니다.
 
김 대표는 "관계 당국은 정확한 상황 파악은 물론이고 공급 원활화를 위한 대책을 다방면으로 모색하기 바란다"며 "요소수는 산업 현장에서 질소산화물 제거와 국민들의 경유차 운행에 반드시 필요한 품목인 만큼 비상한 마음으로 대책을 강구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윤영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윤석열정부의 미흡한 대응을 짚으며 "윤석열 정부는 지난 2년 동안 대체 무엇을 한 것이냐"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전임 정부는 2년 전 요소수 대란을 겪고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하지만 윤석열정부는 공급망 다변화 정책을 철폐했고, 그 결과 (문재인정부에서) 71%였던 의존도가 91%까지 올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는 지난 정부에서 대일 수출규제로 시작된 공급망 다변화 노력을 현 정부가 친일 외교를 강화하면서 중단시킨 영향이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공급선을 다변화하면서 중국과 적극적 소통을 통해 수급 혼란을 최소화하라"고 촉구했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한동인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