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伊 9월 국채만기 집중..위기 탈출하나
입력 : 2011-09-15 14:00:04 수정 : 2011-09-15 14:48:05


[뉴스토마토 김수경기자] 이탈리아가 9월에 집중된 국채만기를 무사히 넘길수 있을지 여부가 유럽 재정위기 전이를 차단하는데 있어 큰 고비가 될 전망이다.
 
유로존 내에서 3위 경제대국인 만큼 국채 차환에 실패할 경우, 시장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을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만큼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이탈리아 의회는 국채만기를 앞두고 재정 긴축안을 통과시키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지만 추락한 이탈리아 경제에 대한 신뢰회복은 아직 요원하기만 한 상황이다.
 
◇ 첩첩산중..국채금리↑응찰률↓
 
이탈리아는 지난 12일 115억 유로의 채권을 매각한 데 이어 13일에는 65억 유로의 채권을 추가로 매객했다.
 
13일 5년 만기 국채 39억유로 발행에 성공했지만 목표치인 40억달러에 못미친 데다 발행금리가 5.6%로 직전에 기록한 사상 최고치 6%에 육박한것으로 나타났다.
 
금리는 치솟았지만 응찰률은 1.28배로 지난 7월 당시 1.93배보다 큰폭으로 떨어지면서 시장의 불안감은 극대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당장 15일 총 145억 유로(21조7천억 원)에 달하는 채권을 매각해야 과제를 안고 있는 가운데 이달말 만기가 돌아오는 국채를 순조롭게 상환할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 긴축안 의회통과..실행여부 '미지수'
 
1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하원이 542억유로 규모의 재정 감축안을 최종 통과시켰다. 지난 7일 상원이 감축안을 승인한 데 이어 하원 투표까지 완료되면서 의회의 승인절차는 모두 마무리됐다.
 
재정감축안은 오는 2013년까지 균형재정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고소득층에 대해 3%의 추가소득세를 부과하고, 부가가치세 세율을 20%에서 21%로 인상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는 국채금리가 치솟자 당초 455억유로 규모의 재정감축 규모를 540억유로로 확대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현재 상당한 재정적자 상황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무리한 계획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유로존은 회원국의 공공부채 비율을 국내총생산(GDP)의 60% 이하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탈리아의 공공부채비율은 기준선을 두배 가까이 넘어서는 120%를 기록중이다.
 
때문에 이탈리아 정부가 각계의 강력한 반대와 저항을 극복하고 재정감축안을 무사히 시행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 중국, 이번엔 지갑 열까..'조건'이 문제
 
중국이 벼랑 끝에 몰린 이탈리아를 구원해줄 구원투수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안정성이 떨어지는 이탈리아 국채를 무작정 사서 보유하기보다는 국영기업 등의 지분으로 전환하는 쪽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장샤오창 부주임은 중국이 유럽국가들의 채권을 투자로 전환하기를 원한다고 밝힌 상태다.
 
중국 인민은행의 통화정책위원회 위원 리다오쿠이(李稻葵)는 "유럽의 국채상황이 더 나빠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있중국은 맹목적으로 이탈리아 채권을 매입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탈리아 채권매입에 대해서는 좀 더 명확한 조건이 전제돼야 한다"며 "더욱 깊이있는 논의가 필요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일각에서는 이탈리아 재정위기를 해결에 큰 도움이 될 만한 규모로 이탈리아 국채를 매입하기는 사실 상 쉽지 않을것이라는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섣불리 투자에 나설 경우 수반되는 리스크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만약 중국을 비롯한 브릭스 국가들이 적극적으로 국채매입에 나서준다 하더라도  이탈리아 재정적자 위기를 어느정도 완화시켜줄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미지수라는 반응이다.
 
이탈리아의 부채상환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어떤 조건을 담보로 이탈리아의 숨통을 틔워줄지 주목되고 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김수경

정확한 시장 정보를 전달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