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연대 남은 과제는?
박원순식 선거국면 조성·당내잡음 무마가 관건
입력 : 2012-03-13 17:03:00 수정 : 2012-03-13 17:35:48
[뉴스토마토 박수현기자] 지난 10일 새벽 타결된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야권연대. 양당은 상호 무공천 형태의 양보와 오는 17, 18일 치러질 100% 여론조사 방식의 단일후보 경선을 앞두고 있다.
 
전국적 연대의 성사와 공동정책합의문 도출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는 평가지만, 남아있는 야권의 과제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봤다.
 
◇박원순식 선거국면 조성되나
 
야권연대에도 불구하고 장미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19대 총선의 국면에 따라 결과가 좌우될 공산이 크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
 
야권의 바라는 것은 지난해 박원순 시장을 탄생시킨 서울시장 재보선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박 시장이 범야권 및 시민사회의 폭넓은 지지를 받으며 나경원 당시 한나라당 후보를 이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국선거인 총선에서 그 때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악재다.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의 기층 조직이 서로를 위해 얼마나 뛰어줄런지도 의문이다.
 
특히 지난 2010년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 야권단일후보에 유시민 당시 국민참여당 후보가 선출됐으나 경선룰을 둘러싼 갈등으로 적극적 지지를 이끌지 못한 대목이 걸린다.
 
즉 민주당이 무공천키로 한 전국 16개 지역구에서 통합진보당 후보에 대한 민주당 조직의 지지를 얼만큼 이끌어 낼 수 있을지가 관건인 것이다.
 
이 때문에 유시민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는 12일 출연한 YTN라디오 '정면승부'에서 "어느 당 후보가 단일후보가 되든 양당 모두 마음을 모아서 최선을 다하자는 결의를 다지는 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호소했다.
 
하지만 민주당 무공천지역 외에도 전국 76곳에서 경선이 치러지는 만큼 통합진보당 후보가 승리하는 지역에서 민주당 지지자들의 표를 흡수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이에 대해 신율 명지대 교수는 "구도를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MB정권 심판의 야권연대여야지, 이념구도로 가면 어렵다. 특히 보수층이 두터운 우리나라에서 통합진보당이 한미FTA나 강정마을 문제를 계속 거론하면 힘들다"고 예측했다.
 
신 교수는 "전략과 목표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며 "야권연대의 성공을 위해선 중도를 잡고 갈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당내 잡음 최소화 관건
 
양당에게는 당내의 잡음들을 무마시켜야 할 과제도 놓여 있다. 민주당은 공천 결과에 따른 후유증을, 통합진보당은 야권연대 협상의 과정에서 불거진 정파간 불협화음을 무마해야 한다.
 
민주당은 공천 심사에서 탈락한 13인의 수도권 예비후보들이 '국민경선쟁취 민주연대'를 만들어 탈당 및 무소속 출마를 선언해 골치를 겪고 있다. 수도권은 새누리당과 박빙의 승부가 예상돼 한 표가 아쉬운 상태다.
 
여기에 구 민주계 인사들도 공천에 불복, 한광옥 전 의원을 중심으로 정통민주당(가칭) 창당을 선언하면서 호남에서도 긴장감이 감지되고 있다.
 
통합진보당은 야권연대를 위해 전국 58개 지역의 후보가 용퇴를 하게 됐으나 이에 따른 잡음은 덜한 편이다. 서울지역 용퇴후보자 12인은 12일 국회에서 용퇴의 뜻과 함께 눈물로 야권의 지지를 호소했다.
 
그러나 민주당과의 경선지역 규모를 두고도 정파간 충돌을 빚었던 것으로 알려져 자칫 내홍으로 번질까 조심스러운 눈치다
 
앞서 서기호 전 판사의 개방형 비례대표 선출을 놓고 드러난 이정희,유시민 공동대표의 입장차이도 미묘한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런 와중에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무섭게 상승하고 있다. 리얼미터의 3월 둘째주 주간 정례조사에 의하면 새누리당은 40.3%를 기록해 32.7%의 민주통합당을 여유있게 따돌렸다. 통합진보당은 4.8%에 그쳤다.
 
한 때 민주통합당 단독 과반설까지 흘러나오던 분위기가 급격히 가라앉은 것이다. 새누리당의 비상에 정비례해서 야권연대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박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