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 총리 지명자, 朴정부 조각 때도 유력 후보
대선당시 새누리당 정치개혁특위 위원장 맡아
입력 : 2014-05-22 16:13:20 수정 : 2014-05-22 16:17:32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와 안대희 전 대법관(사진=뉴스토마토DB)
 
[뉴스토마토 최기철기자] 박 대통령이 22일 제43대 국무총리로 지명한 안대희 전 대법관은 ‘국민검사’라는 별명을 처음 얻은 검찰출신 법조인이다.
 
대검찰청 중수부장 시절인 2003년 '한나라당 차떼기 대선자금 수사'를 주도해 정치권에 일대 파란을 일으키며 팬클럽이 생기기도 했다.
 
사법연수원 7기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법시험 동기이기도 한 그는 대검 중수부3과장, 대검 수사1과장, 서울지검 특수3부장, 서울지검 특수2·1부장 등을 역임하며 특수수사의 달인으로도 이름이 높았다. 서울고검 검사장으로 재직하다가 2006년 대법관으로 취임했다.
 
대법관 시절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유신헌법에 근거해 1974년 선포한 긴급조치 1호가 국민의 기본권을 지나치게 침해해 위헌이라고 판결한 바 있다.
 
청렴성과 도덕성, 조직운영 능력 면에서 후한 점수를 받아왔다. 2012년 3월 마지막 공직인 대법관 시절 안 전 대법관의 재산은 9억6000만원이었다. 고법부장급 이상 법관 중 108위였다.
 
대법관 퇴임후 변호사 개업을 하거나 로펌에 영입되지 않아 기존의 이미지를 지켰으나 지난 대선 당시 새누리당 정치개혁특위 위원장을 맡으면서 비판을 받았다. 박 대통령이 대선 당시 내세웠던 공약 중 검찰개혁과 대통령 측근 감시제 도입 등 정치쇄신 공약을 그가 만들었다.
 
안 전 대법관은 대선 전날 "소임을 다했다"며 손수 책상을 비우고 새누리당을 나와 주목을 받기도 했다.
 
박근혜 정부의 초대총리로 유력했으나 새누리당을 나온 뒤에는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로 재직하면서 정치권과 거리를 둬 왔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최기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