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그리고 트럼프…막오르는 미국 대선
막말 후보 트럼프 경선 당선 여부 불투명
경제 공약보다 안보에 더욱 초점 쏠려
입력 : 2016-01-04 10:00:00 수정 : 2016-01-04 10:00:00
2016년은 미국에게 조금 더 특별한 한 해가 될 예정이다. 11월8일, 나라의 수장을 뽑는 미국의 45대 대통령 선거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과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을 이어 어떤 대통령이 미국을 이끌어가게 될지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지율 1위 트럼프-힐러리지만 트럼프 변수 남아있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왼쪽)와 도날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오른쪽) 사진/로이터
 
지난달 26일(현지시간) 기준 USA투데이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민주당에서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및 대선 후보가 55.3%로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고 버니 샌더스 버몬트 주 무소속 상원의원 및 후보가 30%로 2위다. 클린턴 후보가 경선에서 당선될 가능성이 높긴 하나, 샌더스 후보 역시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어 속단하기엔 이르다. 
 
공화당은 트럼프 후보가 36.5%로 1위를 기록하고 있고, 테드 크루즈 텍사스 주 연방 상원의원 및 후보가 그 뒤를 이어서 17.8%로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마르코 루비오 플로리다 상원의원 및 후보가 11.3%로 3위를, 벤 카슨 후보가  9.3%로 4위다.
 
현재 1위는 트럼프 후보이긴 하나 경선에 당선될지 여부는 알 수 없다. 트럼프 후보가 최근 지나친 막말 행진을 이어가면서 지지층이 떨어져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공화당 의원들마저 등을 돌리고 있어 결국 트럼프 후보가 공화당에서 축출되고 크루즈 후보나 루비오 후보가 공화당 대표 후보로 선출될 가능성이 제시된다. 실제로 CNN조사에 따르면 가상 양자대결 결과에서 클린턴-트럼프는 49%-46%을 기록했지만 클린턴-루비오는 48%-49%로 클린턴 후보가 루비오 후보에 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오는 2월1일 아이와주에서 당원만 투표할 수 있는 민주당과 공화당의 코거스(당원대회)를 시작으로 당내 대선 후보 경선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어 2월9일에는 뉴햄프셔 주에서 양당 모두 일반 유권자들도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프라이머리(예비선거)가 열린다. 
 
2월23일에는 공화당이 네바다주에서 당원대회를, 2월27일에는 민주당이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서 예비선거를 실시한다. 이후 3월1일에는 공화당이 14개 주에서, 민주당이 12개주에서 경선을 치를 예정이라, 정치권에서는 이날을 ‘슈퍼화요일’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후 공화당은 7월18일부터 21일까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민주당은 7월25일부터 28일까지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전당대회를 열어 공식 대선 후보를 지명한다.
 
3개월간의 선거운동 후 11월8일에는 538명의 선거인단이 뽑힐 예정이며 이중 270명 이상을 얻은 후보는 2017년 1월20일 제45대 대통령에 취임하게 된다.
 
핵심 이슈, 경제에서 테러·IS·난민문제로 이동
 
통상 미국 대선때 가장 핫이슈는 후보들의 경제 공약이었다. 그러나 최근 이슬람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의 잇따른 테러로 자연스레 이번 대선의 최대 이슈로 테러, IS, 난민 문제 등이 떠오를 예정이다.
 
이미 후보들 사이에서 이와 관련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트럼프 후보 같은 경우에는 “무슬림들을 모두 미국에서 추방해야 한다”는 극단적인 메시지를 펼쳐 오히려 역풍을 맞고 있다.
 
난민 수용과 관련해서도 트럼프 후보는 반대 입장이며 크루즈 후보는 선별적으로 무슬림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클린턴 및 민주당 후보들은 인도적 난민 수용에 찬성하고 있다.
 
IS 세력 확장에 따른 미국의 지상군 파견과 관련해서도 민주당에서는 절대 반대 입장을 보이는 반면 공화당의 벤 카슨 후보는 지상군 투입에 찬성하고 있다.
 
이 외에도 총기규제 문제 역시 핫이슈로 부상할 예정이다. 2015년 미국에서는 총기 관련 사건들이 끊이지 않았다. 클린턴 후보는 강한 규제를 외치고 있지만 트럼프 후보는 오히려 총기 소지를 더욱 지지하고 있다.
 
경제와 관련해서도 각 후보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트럼프 후보는 파격적인 세금 정책을 공약했다. 저소득층의 수백만명의 연방 소득세를 면제하고 최고 소득계층에 적용하는 세금도 39.6%에서 25%로 낮추고 상속세와 법인세를 감축하거나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클린턴 후보는 오바마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중산층을 강조하는 경제 정책을 펼 것이라고 밝혔다. 
 
우성문 기자 suw14@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우성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