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장관 "제2, 제3의 한미약품 나오도록 지원할 것"
20일 한미약품 방문…바이오업계 간담회 개최
입력 : 2016-01-20 15:48:02 수정 : 2016-01-20 15:48:21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 "바이오업계를 비롯해 신산업 전반에서 제2, 제3의 성공사례가 나올 수 있도록 정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 날 주 장관은 경기 화성에 있는 한미약품 연구센터를 방문했고, 이어 열린 바이오업계 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주 장관은 "한미약품의 기술수출 성공은 글로벌 신약의 불모지나 다름없던 우리나라에서 기업가정신과 연구원들의 열정으로 만든 기념비적인 성과"라고 격려했다.
 
한미약품은 인슐린 등 기존 의약품 약효지속 기술개발 등을 통해 지난해 총 5건, 약 7조800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에 성공했다. 이는 국내 제약시장 규모의 약 40%에 달한다.
 
주 장관은 "수출 부진을 타개하고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해서는 바이오산업과 같은 신산업 육성에 모든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며 "최근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와 기술이전이 활발한 바이오산업에 대해 규제를 혁신하고 과감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 민간의 투자가 활발한 분야를 중심으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여러 부처에 산재된 바이오산업 관련 규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신성장동력투자지원단'을 설치, 규제개혁 원스톱(One-stop) 창구를 개설하고 바이오 산업 맞춤형 자금지원, 인력양성, 인프라 정비 등의 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바이오 산업 창업 초기 자금 지원을 위해서는 300억원 규모의 펀드가 조성된다. 또 보건복지부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안에 임상실험센터를 건립하고, 바이오의약품과 글로벌 진출 신약에 대한 약가도 우대할 방침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대표들은 함량에 따른 약가산정 합리화, 창업펀드 조성, 해외 인허가·기업 정보 지원, 유전자 검사 규제 완화 등을 건의했다.
 
주 장관은 이에 대해 "올 하반기에 전문가협의체를 구성해 개선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운영과정에서 허가제 성격을 가진 유전자 검사 항목 신고제도는 '선 신고 후 평가·관리' 체계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이해곤 기자 pinvol1973@etomato.com
 
20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 중회의실에서 열린 '수출지원기관 협의체 간담회'에 참석한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뉴시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이해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