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AI로 시장 감시…혐의 판단 5일→1시간으로 단축
맞춤형 시장감시 체계 강화…코스닥 신뢰도 제고 노력
입력 : 2018-01-24 14:20:57 수정 : 2018-01-24 14:20:57
[뉴스토마토 이종호 기자] 한국거래소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AI) 시장감시시스템을 오는 4월부터 가동한다. 새로운 시스템이 적용되면 혐의 판단 시간이 5일에서 1시간으로 단축된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24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18년 업무 추진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새로운 AI 시스템이 도입되면 2~3개에 불과했던 불공정 혐의 판단 모형이 54개로 늘어나고 혐의 판단 시간이 5일에서 1시간으로 줄어든다. 아울러 AI의 예측으로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고 복잡한 패턴도 학습해 새로운 불공정거래 유형 적출이 신속·정확해진다.
 
이를 위해 한국거래소는 지난 2016년 컨설팅을 시작으로 작년 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시스템을 개발했다. 오는 3월부터 한 달간 통합 테스트를 진행하며 최종 가동은 4월 말이 된다.
 
시장감시위원회는 최근 투자조합 등을 동원한 대규모 기획형 복합 불공정거래 및 게릴라형 초단기(당일·다수종목) 시세조종 등 다양한 불공정거래에 대응하기 위해 맞춤형 시장감시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복합 불공정거래 연루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불공정거래 군에 대해 의무감시, 지분변동 및 공시 상시모니터링, 이상 거래 발견 즉시 특별심리 실시 등 특별관리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테마주 등 이상 급등 종목에 대한 대응도 강화한다. 다가오는 6·13 지방선거 등 테마주에 대해서 특별점검반을 운영해 대응을 강화하고 장중 예방조치·건전주문안내 활성화 등 조기 대응을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신속한 사건처리를 위해 상장사 자료제출 요청 및 회원 실지 심리를 적극 활용해 상장법인 내부자 연루 미공개정보이용 조기 적발 체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코스닥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도 계속된다. 시장감시위원회는 신규 상장 및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 종목 등에 대한 집중감시체계를 구축하고 내부자 자율등록 시스템, 현장방문 컨설팅 서비스 확대, 내부통제 자체 진단 툴 개발 불공정거래 신고 특별포상제도 등을 시행할 예정이며 회원사 제재를 금전적 제재 중심으로 바꾸고 거래소 매매중심에서 거래소 규정 위반으로 감리영역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해선 시장감시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연계성 추적 회피를 위한 철저한 분업화, 주문·정보전달 매체의 다양화 등 불공정거래가 복잡·지능화되고 있다"며 "빅데이터 기반의 AI 기술을 적용해 사전예방 시장감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해선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위원장이 2018년 업무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국거래소
이종호 기자 sun1265@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증권계좌대비 300%, 연 2.6% 토마토스탁론 바로가기


  • 이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