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중간점검)④"금융사 투자 명분 만들어줘야"
(인터뷰)김소희 국민의힘 의원
'탄소중립 녹색성장 금융 특별법' 제안
"회색산업 저탄소 전환 선행해야"
입력 : 2024-06-28 06:00:00 수정 : 2024-06-28 10:43:34
 
[뉴스토마토 이효진 기자] "지금의 화석연료 기반 산업이 저탄소산업으로 질서 있게 전환하는 데 금융의 노력이 절실합니다."
 
22대 국회에 입성한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5일 의원회관에서 <뉴스토마토>와 인터뷰를 통해 금융사들이 무조건 친환경 기업 위주로 투자하도록 강제하는 것은 정답이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화석연료 기반 기업들이 탄소중립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민간 금융사들의 투자 명분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25일 <뉴스토마토>와의 인터뷰에서 전환금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뉴스토마토)
 
김 의원은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 산업을 죽이고 친환경 산업만을 육성하는 정책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27.1%가 제조업에서 나옵니다. OECD 국가 가운데 2위입니다. 그중 조선, 철강, 해운 등 한강의 기적을 일군 전통적 산업군은 아직 상당부분을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화석연료 기반 산업이 저탄소 산업으로 옮겨가기 위해선 금융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국내 탄소 배출 1위 기업인 포스코가 2020년 내놓은 '포스코 2050 탄소중립 선언 및 현황'을 보면 국내 철강업계가 기존에 석탄을 이용해 쇳물을 뽑던 고로를 ‘수소환원로’로 전환하는 데 68조5000억원이 듭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연평균 석탄 구입비 약 8조원의 8배 수준입니다.
 
에너지 전환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지만 금융권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친환경 산업에 우선 투자하는 정책 때문입니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 철강과 조선업 등은 글로벌 최상위권인데 화석연료 기반이라는 이유로 금융권이 적극적인 투자를 할 수 없다"며 "전통산업 기반을 저탄소 산업으로 바꿔주는 게 첫 번째"라고 말했습니다.
 
김 의원은 '전환금융'을 해결책으로 제시하며 이른바 '탄소중립 녹색성장 금융 특별법'을 발의하기로 했습니다. 저탄소 에너지 기술 개발·도입을 위해 정책금융을 마중물로 민간 재원을 적극 활용한다는 내용입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지난 21대 국회에서는 녹색금융공사 설립에만 초점이 맞춰지면서 탄소중립 녹색성장기본법에는 금융 관련 분야 법안 통과가 어려웠습니다.
 
특별법으로 민간 금융사들이 에너지 전환 관련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겁니다. 김 의원은 "2040년까지 탄소배출을 40프로를 감축하겠다는 도전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선 속도를 높일 때"라며 "결국 금융 지원이 있어야 우리가 글로벌에 제시한 목표에 닿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효진 기자 dawnj789@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이효진

안녕하세요 이효진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