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억원 '반도체 생태계 펀드' 출범…소부장·팹리스 육성
민관 합동 펀드 출범…연내 투자 개시 예정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모펀드 1500억 포함
산업1차관 "한국형 엔디비아 탄생 마중물 기대"
입력 : 2023-06-26 17:02:47 수정 : 2023-06-26 17:02:47
[뉴스토마토 주혜린 기자] 메모리 중심의 국내 반도체 밸류체인을 시스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으로 확장하기 위해 총 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가 조성됩니다.
 
정부는 유망 팹리스·소부장 기업을 뒷받침하고 인수합병(M&A) 활성화를 통한 기술고도화 등을 적극 지원할 방침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반도체 생태계 펀드 출범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펀드는 현재 운용 중인 반도체전용펀드의 높은 자금 소진율을 고려해 기존 펀드와 비교해 최대 규모인 3000억원으로 조성됐습니다. 모펀드 1500억원과 민간 투자 1500억원입니다.
 
모펀드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750억원을, 한국성장금융·산업은행·기업은행이 정책금융 자금 750억원을 각각 출자했습니다. 
 
펀드는 프로젝트 투자규모를 기존 펀드보다 상향해 유망 팹리스와 소부장 기업의 스케일 업을 뒷받침할 계획입니다. 또 인수합병(M&A) 활성화를 통한 기술고도화 등도 적극 지원합니다. 
 
메모리 중심의 국내 반도체 밸류체인을 시스템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으로 확장하기 위해 총 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가 조성됩니다. 사진은 반도체 생태계 펀드 조성 협약식. (사진=뉴시스)
 
펀드 운영은 한국성장금융에서 맡게 되며, 하위펀드 위탁운영사 선정 절차 등을 거쳐 올해 안에 투자가 개시될 예정입니다.
 
앞서 2017년 반도체성장펀드가 약 2400억원으로 조성됐으며, 2020년에는 시스템반도체상생펀드가 약 1200억원을 조성된 바 있습니다. 이전 펀드는 내년까지 소진될 전망입니다.
 
이날 MOU 체결식에는 산업부 제1차관·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삼성전자·SK하이닉스·DB하이텍·원익QnC·실리콘아츠·TEMC 등 6개사 관계자와 함께 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 한국성장금융 대표, 산업은행 부행장, 기업은행 부행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은 "반도체 투자 활성화를 위한 투자세액공제 상향, 용적률 완화 특례 도입,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300조원 규모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팹리스·소부장 국산화를 위한 신기술 테스트베드로서 첨단반도체기술센터 구축 등 전례 없는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장 차관은 "오늘 출범하는 반도체 생태계 펀드는 최근 금리인상, 업황 악화 등으로 투자자금 조달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는 팹리스·소부장 기업의 성장과 자립화를 위한 것"이라며 "이번 펀드가 미래 반도체 산업을 이끌 한국형 엔디비아 탄생의 마중물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메모리 중심의 국내 반도체 밸류체인을 시스템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으로 확장하기 위해 총 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가 조성됩니다. 사진은 인사말 하는 장영진 산업부 차관. (사진=뉴시스)
 
세종=주혜린 기자 joojoosky@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주혜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