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물가 '비상'…소비자 '울상'
식품가격 줄줄이 인상…서민 물가 부담 가중
업계 "각종 비용 상승에 가격 인상 불가피"
입력 : 2024-06-07 15:59:11 수정 : 2024-06-07 16:54:18
 
[뉴스토마토 김성은·이지유] "아이들이 즐겨먹는 떡볶이, 김밥 등 외식제품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애들한테 쉽게 사먹으라고 얘기하기도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고등학생 아이가 있는데 엊그제 참치김밥 한줄에 7300원을 주고 사먹었단 얘기에 가계부담이 작년과 비교해서 더욱 힘들어질 것 같네요."
 
최근 물가 상승세가 가팔라지는 가운데, 앞서 언급한 가정주부 A씨의 사례처럼 먹거리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음에 따라 서민들의 물가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입니다.
 
지난 3월 26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2.8%로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치(2.7%)보다 0.1%포인트 높게 나타났는데요. 냉면 등 외식 세품 품목 39개 중 절반이 넘는 23개 물가 상승률이 평균을 웃돌았지만, 물가 내린 품목은 없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그동안 정부의 물가안정 동참 요청에도 식품·외식 업체들은 잇따라 인상에 나서면서, 당국의 압박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부분입니다. 
 
치킨프랜차이즈 BBQ는 지난 4일 주요 제품 가격을 평균 6.3% 올렸습니다. 정부와 소비자단체 반발에 두 차례 인상 시점을 늦췄지만 결국 인상에 나선 것인데요. 이번 인상으로 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가격대가 형성됐습니다.
 
대표제품인 '황금올리브치킨 후라이드' 가격은 기존 2만원에서 2만3000원으로 15% 올랐고, 자메이카 통닭다리구이는 2만1500원에서 2만4000원으로 11.6%, 황금올리브치킨 콤보는 2만4000원에서 2만7000원으로 12.5% 오른 것 인데요.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주문을 하였을 시 배달비까지 합쳐 계산하면 기본 3만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는 빙수 가격을 최대 6.7% 인상했습니다. 국산팥 듬뿍 인절미 빙수는 8900원에서 9500원으로, 애플망고빙수는 9700원에서 1만원으로 각각 올랐고, 디저트 카페 브랜드 설빙도 6월부터 일부 메론 빙수 가격을 1000원씩 인상했습니다. 샤인머스캣메론설빙 가격은 1만4900원에서 1만5900원으로 6.7%, 리얼통통메론설빙 가격은 1만5500원에서 1만6500원으로 6.4% 올랐습니다.
 
무더위에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빙수 제품을 선보이고 있지만 원자재값 상승으로 가격인상이 불가피 하다는 입장인데요. 빙수 주재료인 우유 가격이 오른 영향이 커보입니다. 지난해 5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원유 생산비는 1ℓ당 959원으로 전년 대비 13.7% 올랐습니다. 또 다른 빙수의 주재료인 국내산 팥의 중도매 가격은 지난달 3일 기준 40㎏당 43만4667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9% 인상됐는데요.
 
치킨·버거 프랜차이즈 KFC는 국내에서 5일부로 가격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징거세트 가격이 7900원으로 1.2% 올랐으며 핫크리스피 치킨, 핫크리스피 통다리 1조각 가격 역시 각각 300원 올랐는데요. KFC 측은 원부자재 가격, 인건비, 배달 수수료 등 제반 비용 상승으로 불가피하게 일부 메뉴 가격인상이 이뤄졌다는 설명입니다. 
 
가공식품인 맛김의 물가 상승 폭도 커졌는데 지난 달 김 물가가 6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 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만 해도 1.2%에 그쳤으나 2월 3.1%, 3월 6.6%, 4월 10.0%, 지난 달 17.8% 등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동원F&B는 양반김 등의 조미김 가격을 평균 15% 인상했고, CJ제일제당도 김 가격을 최대 30% 인상한 바 있습니다.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 8.7%…전체 평균치 대비 3.2배
 
지난 3년 동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치를 웃돌면서, 앞서 언급한 외식물가 이외에도 지난달에만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8.7%로 전체 평균치의 3.2배에 달했는데요. 한 외식업체 관계자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과 인건비, 임대료 등의 상승에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며 "다만 물가 안정을 위해 상승폭을 최소화하려고 한다"고 했습니다.
 
이처럼 끝모를 물가 인상 행렬에 정부는 식품·외식업계에 가격 인상 자제를 촉구한 바 있는데요. 서민 경제를 위해 업계 스스로 원가절감 노력을 통한 인상요인 자체 흡수 또는 인상폭 최소화, 자체 할인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지만 업계는 이에 협조하는 대신 줄 인상 행렬에 나서며 소비자 고통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최근 인플레이션 기조에 편승해 일부 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보인다"며 "가격이 오르면 소비가 위축되고 브랜드끼리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가처분소득에 비해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높은 현상이 지속되면 가계 경제가 점점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습니다. 
 
김성은·이지유 emailgpt12@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이지유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