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중소기업 양극화 심화..임금격차 2배
입력 : 2015-02-22 12:47:42 수정 : 2015-02-22 12:47:42
[뉴스토마토 김혜실기자] 최근 10년 동안 중소기업과 대기업,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내놓은 '사업체 규모별 임금 및 근로조건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각각 359만8000원, 204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04년 8월 기준 238만원, 142만3000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월평균 임금이 올랐다.
 
그러나 상대임금 격차는 커졌다. 대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시간당 평균임금을 100원이라고 가정할 때 2004년 중소기업 사업체의 시간당 평균임금은 59.8원이었으나 10년 뒤인 2014년에는 56.7원으로 떨어졌다.
 
시간당 평균임금 격차도 벌어졌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임금은 각각 1만2311원, 7179원에서 10년 뒤 2만397원, 1만1424원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중소기업 근로자의 시간당 상대임금은 10년 전 58.3원에서 56원 수준으로 하락했다.
 
고용형태별 임금격차 역시 심화됐다. 중소기업의 경우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상대임금 수준은 78.1원에서 68.4원으로, 대기업의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상대임금 수준은 73.8원에서 66.1원로 하락했다. 대기업 정규직과 중소기업 비정규직의 상대임금 수준은 41.6원에서 40.7원으로 낮아졌다.
 
노조의 유무에 따라 임금격차가 더 커졌다. 2014년 8월 기준 유노조·대기업·정규직 대비 무노조·중소기업·비정규직의 상대임금 수준은 38.6원으로 10년 전의 44원보다 격차가 크게 확대됐다.
 
이밖에 대기업 정규직과 중소기업 비정규직의 복지수혜율 격차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김복순 한국노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중소규모 사업체의 임금수준이나 사회보험가입률, 복지수혜율, 노조조직률은 대규모 사업체에 비해 열악하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며 "중소규모 사업체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중소규모, 대규모 사업체의 비정규직 근로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현실적인 정책수단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김혜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