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묘소 찾은 이낙연…이재명과 전면전 초읽기
문 전 대통령·봉하마을도 예방…'민주당 적자' 강조 행보
친명 "이재명부터 만나야" 비명 "당연히 행보 시작해야"
입력 : 2023-06-28 15:51:50 수정 : 2023-06-28 16:54:40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고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를 찾아 분향한 뒤 묵념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토마토 김광연 기자]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28일 고 김대중(DJ)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며 지난 24일 귀국 후 첫 대외 행보를 시작했습니다. 이 전 대표의 귀국을 기점으로 친명(친이재명)과 비명(비이재명)계 간 전면전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호남 주도권 쥐려는 이낙연…불붙는 정통성 경쟁
 
이 전 대표는 이날 자신과 가까운 설훈·윤영찬 민주당 의원과 함께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았습니다. 그는 귀국 후 첫 일정으로 DJ를 찾은 것과 관련해 "김 전 대통령은 제 정치의 원점"이라며 "1년 전 출국할 때도 여기 와서 출국 인사를 드렸던 것처럼 귀국 인사를 드리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전 대표는 경남 김해 봉하마을의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있는 경남 양산 평산마을도 예방할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우선 인사드릴 곳을 인사를 드리는 것"이라며 "현재 거기까지 정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낙연(가운데) 전 민주당 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고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설훈(왼쪽)·윤영찬 민주당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대중-노무현-문재인으로 이어지는 이 전 대표의 행보를 두고 호남 주도권을 쥐는 동시에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계에 적극적으로 구애를 보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무엇보다 '당 정통성은 적자인 내가 쥐고 있다'는 메시지가 아니냐는 겁니다. 전남 영광 출신인 이 전 대표는 기자 시절 김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치에 입문했습니다. 이후 전남 함평 등을 지역구로 16대~19대 내리 4선을 지냈고, 전남도지사도 역임했습니다. 이후 문재인정부 초대 국무총리로 이름을 올리며 대권주자로 발돋움했습니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DJ(김 전 대통령) 묘역 참배는 본인의 정치를 새롭게 하겠다는 신호탄이자, 호남과 중도층에 자신이 당의 적자임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가 아니겠느냐"며 "앞으로 문 전 대통령·봉하마을 등을 찾을 텐데 이곳은 최근 민주당의 성지처럼 굳어졌다는 점에서 당연한 수순"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친명·비명 '으르렁'…전운 감도는 민주당
 
이 전 대표는 현 이재명 체제의 대항마로 꼽힙니다. 때문에 그의 움직임 하나하나에 따라 당이 요동칠 수 있습니다. 이 전 대표의 이번 행보를 놓고 친명과 비명계는 벌써부터 시각차를 드러내며 전운이 감돌고 있습니다.
 
이낙연(왼쪽) 전 민주당 대표가 지난 4월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장인의 빈소에서 조문을 마친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배웅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친명계 다선 의원은 본지에 "이 전 대표의 정치 활동이 앞으로 통합의 길이 될지 갈등의 길이 될지 알 수 없다"면서도 "분란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이재명 대표부터 먼저 만나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른 친명계 초선 의원은 "가뜩이나 당이 어려운 시기 아니냐. 당내 분란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화합을 이끌 수 있느냐가 이 전 대표에게 주어진 숙제"라며 "일부에서는 이 대표가 물러나고 그 자리에 이 전 대표가 앉아야 된다는 이야기까지 나오지만,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비명계 초선 의원은 "당연히 활동은 재개해야 하는 것 아니겠느냐"며 "다만 당을 위해 정치적인 메시지는 내놓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른 비명계 중진 의원은 "정치적으로 활동을 중단한 이후 이번에 돌아온 만큼 활동 자체를 재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도 "호남에서 정치를 시작했으니 지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는 있겠지만, 이 전 대표는 지난 2021년 대선후보 경선 당시 이미 호남에서 이 대표를 압도하지 못하며 한계를 드러냈다. 그의 귀국이 당내 갈등 요소로까지 번질 상승 모멘텀(동력)은 아니다"고 예상했습니다.
 
김광연 기자 fun3503@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김광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