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카드 정보 유출 책임, 소비자에게 전가할 의도 없다"
입력 : 2014-01-23 08:43:06 수정 : 2014-01-23 08:46:59
[뉴스토마토 박진아기자]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카드 정보 유출에 대한 일부 책임이 소비자에게 있다는 식의 발언에 대해 "현재 금융소비자의 96%가 정보 제공 동의서를 제대로 읽지 않는 관행을 지적한 것이지 소비자에게 책임을 전가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기획재정부)
현 부총리는 23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올해 첫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일부 언론에서 저의 소비자 정보제공과 관련한 언급에 대한 보도가 있었는데 이는 현재 인터넷 사이트 가입시 금융소비자 96%가 정보 제공 동의서를 잘 파악하지 않는 등 정보 제공 동의와 관련된 관행을 지적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현 부총리는 특히 "이번 대책에서 포괄적 동의 관행 개선 등 제도개선이 이뤄지는 만큼 앞으로 금융소비자도 금융거래시 좀 더 신중하자는 취지에서 말한 것이지 소비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
 
앞서 현 부총리는 지난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금융 소비자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부터 신중해야 한다. 우리가 다 정보 제공에 동의해줬지 않느냐"고 말해 카드 정보 유출에 대한 일부 책임이 소비자에게 있다는 식으로 발언했다.
 
이후 금융 소비자들 사이에서 '카드 발급 과정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나 있기는 한거냐' 등의 비판이 쏟아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아울러 현 부총리는 올해 세계경제 전망에 대해 "전반적으로 선진국의 경기회복에 힘입어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국제통화기금(IMF)는 지난 21일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10월 내놓은 3.6% 전망치에서 0.1%포인트 상향조정한 3.7%로 수정 발표했다.
 
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의 성장을 견인해 왔던 신흥국은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자본유출에 취약한 국가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현 부총리는 올해 우리나라 대외경제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첫째로 우리기업의 대외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세계 경기 회복으로 가속화될 글로벌 경쟁과 엔저에 대비해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수출금융, 해외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수출·수주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 부총리는 또 "민관과 관계부처간 긴밀한 공조와 협업을 통해 세일즈외교와 통상협력 등에서 우리 국익을 극대화하고, 국제기구 협력, 개발협력 등을 통해 우리기업의 해외진출 기회도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자본유출입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국내·역내·글로벌 금융안전망도 더욱 촘촘히 구축할 것"이라며 대외경제 리스크 관리 체계도 강화할 뜻을 밝혔다.
 
현 부총리는 "중요과제에 대해서는 중기의 시계를 가지고 아이디어를 보완·발전시켜 오는 2월 말까지 마련 예정인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담아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박진아

지금 이 순간, 정확하고 깊이있는 뉴스를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