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신규입사자 4명 중 1명 중고신입"…교육 비용 최소화가 이유
작년 중고신입 비중 25.7%…전년비 3.6%p↑
대기업 10곳 중 6곳 올해 수시채용 진행 예정
입력 : 2024-03-28 06:01:00 수정 : 2024-03-28 08:23:24
[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대기업들의 '중고 신입' 채용 비중이 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고 신입은 회사에 경력은 있으나 그 기간이 짧은 신입사원을 말합니다.
 
28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여론조사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상반기 대기업 채용동향·인식 조사'를 조사한 결과, 작년 대졸 신규입사자 4명 중 1명(25.7%)은 경력을 가진 신입직이었습니다. 이는 2022년 중고신입 비중 22.1% 보다 3.6%포인트(p) 증가한 수준입니다.
 
한경협은 “고금리?고물가 장기화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신입사원 교육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업무에 즉시 투입해 성과를 낼 수 있는 실무형 인재를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고 신입의 평균 경력 기간은 1.3년이었습니다. 1년~2년(52.6%)이 가장 많았고, 뒤이어 △6개월~1년(32.8%) △2년~3년(6.0%) △3년 이상(5.2%) △6개월 미만(3.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대기업들은 채용 방식도 공개채용 보다는 수시채용을 더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료=한경협)
 
응답기업 10곳 중 6곳(58.5%)은 대졸 신규채용에서 수시채용 방식을 활용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이 중 △수시채용만 진행하는 기업은 16.2%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을 병행하겠다는 기업은 42.3%였습니다. 상반기 중 공개채용만 진행하는 기업은 41.5%로 조사됐습니다. 올해 상반기 수시채용 활용기업 비중(58.5%)은 지난해 상반기(57.1%)에 비해 1.4%p 증가했습니다.
 
수시채용을 활용하겠다는 기업들은 전체 채용계획 인원 중 절반 이상(53.2%)을 수시채용으로 선발할 것이라고 응답했는데, 이는 공개채용 선발 비중(46.8%)보다 6.4%p 높은 수준입니다.
 
대기업들은 채용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AI 도입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스빈다.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과정에서 AI를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을 고려 중인 기업 비중은 40.7%로, 이 중 △AI를 활용 중인 기업은 22.0% △AI 활용을 고려 중인 기업은 18.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작년 상반기(25.4%)에 비해 15.3%p 증가한 수준입니다.
 
채용 전형 중 어느 단계에서 AI를 활용 중이거나 활용을 고려하고 있냐는 물음에, 응답 기업 10곳 중 6곳(62.3%)은 서류전형이라고 답했고, 이어 실무면접 및 토론 단계(29.5%), 임원면접(8.2%)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아울러 청년들의 구직이 쉽지 않은 상황 속에서 기업들은 정작 원하는 인재를 찾지 못하거나, 신입사원이 조기 퇴사하는 등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신규채용 관련 애로사항으로 △적합한 인재 찾기 어려움(27.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채용 후 조기퇴사자 발생(24.9%) △채용과정에서 이탈자 발생(21.1%) 등의 순으로 답했습니다.
 
대기업의 구인난은 실제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지난해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적극적으로 구인했으나 채용하지 못한 인원(미충원 인원)은 2.3만명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3년 전인 2020년(1.3만명)과 비교해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입니다. 같은 기간 구인인원 중 미충원인원 비중은 2020년 4.6%에서 2023년 6.7%로, 2.1%p 증가했습니다.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로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투자?고용 확대 유도(35.0%)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31.6%) △신산업 성장동력 분야 기업 지원(9.8%) 등을 꼽았습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대내외 경영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수시채용 확대, 중고신입 채용 확대, AI 기술 도입 등 적합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규제 완화, 고용 증대 기업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고용 여력을 확충하고, 산학연계 등 기업 현장에 적합한 인재 육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세은 기자 os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오세은

안녕하세요 오세은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