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금융 > 글로벌경제 미 나스닥 상장사 대표 "이더리움? 안정적이지 않아" 나스닥 상장사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마이클 세일러최고경영자(CEO)가 이더리움(ETH)의 공동 설립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을 겨냥해 가상화폐 이더리움이 불안정하다고 지적했다. 31일(현지시간) 코인 데스크 보도에 따르면 이더리움의 공동 설립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이날 트위터에 세일러 CEO를 저격하며 '완전한 광대'(Total Clown)라고 비난했다. (사진연합뉴스... 반도체, 공급망 이슈 극복…2분기 실적 호조 국내 반도체 업계가 전 세계적인 공급망 이슈 등 악조건 속에서도 올해 2분기 실적 호조세를 이어갔다. 삼성전자(005930)는 연결 기준으로 DS(Device Solutions) 부문이 2분기 매출액 28조5000억원, 영업이익 9조9800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전년 동기보다 매출액은 24%, 영업이익은 3% 각각 증가했다. DS 부문은 견조한 서버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시스... "금리인상폭을 낮출 수도 있다" 한마디에 비트코인 최대 7% 급등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인상폭을 낮출 수도 있다"는 말에 가상화폐 시장이 활기를 띠었다. 27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다. 이후 그는 "통화정책 스탠스가 더욱 긴축적인 방향으로 가면서 (나중에는) 금리인상의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해질 것 같다"며 통화 완화에 대한 발언... 파월, 9월 또 자이언트스텝 언급 "추가 긴축 진행될 것"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오는 9월에도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27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다. 이날 파월 의장은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다음 (FOMC) 회의에서 이례적인 큰 폭의 금리인상이 적절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발언했다. 이어 "이러... IMF "코인 시장 무너져도 세계 금융 시스템에 영향 없다" 국제통화기금(IMF)이 가상화폐 시장의 하락세가 금융 시스템에 영향을 주진 않으리라 분석했다, 27일(현지시간) 디크립트 보도에 따르면 IMF는 지난 26일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Update)' 보고서 내용을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IMF는 “가상화폐 약세장으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었다"며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과 가상화폐 헤지펀드도 실패했다”고 강... EU, 러시아 가스 소비량 15% 감축 합의 '헝가리만 반대'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천연가스 사용 15% 감축안에 정치적 합의를 이룬 가운데 대표적인 친러 국가인 헝가리만 반대표를 던졌다. 26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EU 이사회는 이날 27개 회원국이 참석한 회의에서 러시아산 가스 소비량을 15% 줄이기로 정치적 합의를 이뤘다고 보도했다. 이에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EU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 IMF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2.5→2.3%, 내년 0.8%p 하락 예상"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3%로 0.2%포인트 낮췄다. 또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로 석달 전보다 0.8%포인트 낮췄다. 인플레이션, 중국의 성장 둔화, 전쟁과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하면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 예상한 것으로 보인다. 2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날 이런 내용을 담은... 기준 금리 0.75% 포인트 인상 우려, 비트코인 급락 기준 금리 인상 우려에 가상화폐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27일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TC)은 업비트 기준 전일 대비 최대 2.94% 하락한 27,716,000원에 이르렀다. 이는 지난 17일 기록한 27,505,000원 이후 최저치다. 이는 미국연방준비제도(Fed)가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금리인상을 발표할 것이란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페드워치 금리 선물 시장의 ... 해외직접투자 20년간 2465.7%↑… G7 중 1위 지난 2000년 이후 경제 성장을 고려한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ODI, 국내→해외) 증가율은 2465.7%로 G7 국가 중 월등히 높은 1위를 차지했지만, 외국인직접투자(FDI, 해외→국내) 증가율은 501.9%로 비교적 낮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최근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시사점'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21... 테슬라, 비트코인 손실 분석에 "오히려 차익을 거뒀다"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올해 비트코인을 처분하면서 차익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는 테슬라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 내용을 보도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테슬라가 올해 비트코인 보유에 따른 1억7000만 달러(한화 약 2230억원) 손실을 기록한 내용이 담겼다. 미국에서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무형자산으로 분... 미 캘리포니아주, 가상화폐 정치자금 기부 공식 인정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가상화폐를 정치자금 기부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25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주 공정선거위원회(FPPC)가 정치자금의 투명성 강화 차원에서 가상화폐 기부를 허용했다고 전했다. 이날부터 캘리포니아주에서 공식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은 가상화폐 기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앞서 캘리포니아주는 ... 중국, 반도체 자급자족 위한 '구형 반도체' 투자에 속도 중국이 반도체 자급자족을 달성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구형 반도체 인프라 구축이 대안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중국은 2024년까지 반도체 공장 31곳을 지을 예정이다. 대만(19곳)과 미국(12곳)을 훌쩍 웃도는 신규 공장 건설 속도다. 중국 내 반도체 공장 상당수가 구형 반도체 제조를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대만·한... 미 재무부장관 "현 상황 경기침체 아냐, 징후 없어"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이 미국 내 경기 침체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24일(현지시간) 옐런 장관은 NBC방송 '미트 더 프레스'에 출연해 "일자리 창출이 더딜 수는 있으나 이를 경기 침체 현상으로 보진 않는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경기 침체는 경제 전반이 취약해지는 것이다"라며 "우리는 그러한 상황을 현재 보고 있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다만 우리... "중국 의존도 유지할 수밖에…중장기적으로 벗어나야" 중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탈피해야 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는 가운데 중국 수입 시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비중이 점차 줄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탈중국을 중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25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수입 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은 8.0%로 2017년과 비교해 1.9%포인트 하락했... 유럽중앙은행, 만장일치로 11년 만에 0.5%p 금리 인상 단행 유럽중앙은행(ECB)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ECB는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0%에서 0.50%로 50bp(0.5%P) 인상했다고 전했다. 또한 이날 ECB는 수신금리과 한계대출금리도 각각 0%와 0.75%로 0.50%P 인상했다. ECB가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2011년 7월 ... 123